통신공부

IP 주소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과정

전기럭 2025. 3. 6. 21:35
반응형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이메일을 보내고,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보내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 중심에 있는 개념이 바로 IP 주소입니다. 오늘은 IP 주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 IP 주소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네트워크에서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

우리가 집을 찾을 때 집 주소가 필요하듯이, 네트워크에서 특정 기기를 찾으려면 IP 주소가 있어야 합니다. IP 주소가 없으면, 인터넷에서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받을 수도, 보낼 수도 없습니다.

📌 IP 주소의 역할
✔️ 네트워크 상에서 각 기기를 식별
✔️ 데이터를 보낼 때 정확한 목적지를 찾는 역할
✔️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데 필수 요소


2. IP 주소의 두 가지 종류

IP 주소에는 IPv4IPv6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가장 많이 사용되는 IP 주소 체계입니다. 숫자 4개를 점(.)으로 구분하여 표현합니다.

📌 예시:
🔹 192.168.1.1
🔹 203.0.113.45

하지만 IPv4는 총 43억 개의 주소만 생성할 수 있어, 현재 사용 가능한 IP가 거의 다 소진된 상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IPv6입니다.

2)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는 기존 IPv4보다 더 많은 주소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버전입니다. 숫자와 문자(16진수)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표현합니다.

📌 예시:
🔹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IPv6는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앞으로 모든 인터넷 기기가 IPv6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3.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

IP 주소는 크게 공인 IP사설 IP로 나뉩니다.

공인 IP (Public IP)

  •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부여
  •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가능

📌 공인 IP 예시:
🔹 203.123.45.67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IP)

사설 IP (Private IP)

  • 특정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
  • 라우터(공유기)가 자동으로 할당
  • 인터넷에서는 직접 접근 불가능

📌 사설 IP 예시:
🔹 192.168.1.1 (공유기 설정 페이지)
🔹 10.0.0.2 (사무실 네트워크 내 컴퓨터)

쉽게 이해하기
공인 IP는 집 주소와 같고, 사설 IP는 집 안의 각 방 번호와 비슷합니다. 외부에서는 집 주소(공인 IP)만 보이지만, 집 안에서는 방 번호(사설 IP)로 구분하는 것과 같습니다.


4.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과정

이제 IP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1)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 예시: 사용자가 **www.google.com**에 접속하려고 함

1️⃣ DNS 서버가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 컴퓨터는 'www.google.com'이 어떤 IP 주소인지 모릅니다.
  • DNS 서버가 이를 찾아서 예를 들어 142.250.190.14라는 IP 주소를 알려줍니다.

2️⃣ 사용자의 기기가 해당 IP 주소로 요청을 보냄

  • 내 컴퓨터(192.168.1.2)는 **라우터(192.168.1.1)**를 거쳐 인터넷으로 나갑니다.
  • 공인 IP(203.123.45.67)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됩니다.

3️⃣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이동

  • 요청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를 거쳐 Google 서버로 전달됩니다.

4️⃣ Google 서버가 응답을 보내고 웹페이지가 표시됨

  • Google 서버(142.250.190.14)가 내 IP 주소로 웹페이지 데이터를 보냅니다.
  • 내 브라우저(Chrome, Edge 등)가 데이터를 받아 화면에 표시합니다.

쉽게 말하면?
👉 "네이버에 접속하려고 하는데, 네이버가 어디에 있는지 먼저 물어보고(IP 주소 확인), 그 주소로 길을 찾아 이동한 후, 데이터를 받아오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5. 네트워크가 원활히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네트워크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몇 가지 기본적인 해결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이 안 될 때 확인할 사항
✔️ 공유기(라우터)를 재부팅하기
✔️ 인터넷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 IP 주소를 새로 받기 위해 네트워크를 다시 설정하기
✔️ DNS 설정 변경하기 (Google DNS: 8.8.8.8)


6. 마무리

오늘은 IP 주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정리하자면:
✔️ IP 주소란?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구별하는 고유한 주소
✔️ IPv4 vs. IPv6 → IPv6는 주소 공간이 훨씬 많음
✔️ 공인 IP vs. 사설 IP → 공인 IP는 인터넷에서 유일,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 데이터 이동 과정 → DNS를 거쳐 IP 주소를 찾고, 요청이 서버로 전달되며, 응답을 받아 화면에 표시됨

이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이 조금 더 명확해지셨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