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실무 23

절연저항 측정 원리와 기준값 | 전기설비 점검 시 꼭 알아야 할 내용

전기설비 점검에서 절연저항 측정은 빠질 수 없는 항목입니다.절연 상태가 나쁘면 누전, 감전,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정기점검은 물론 신규 설비 설치나 개보수 시에도 반드시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이 글에서는 절연저항이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지,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준값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절연저항이란?절연저항이란 전류가 흐르면 안 되는 절연 부위에서얼마나 전기가 새는지를 측정한 값입니다.절연저항 수치가 낮다는 것은 절연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며,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단위는 MΩ(메가옴)을 사용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절연 상태가 양호합니다.절연저항 측정 원리와 측정 방법절연저항 측정에는 ‘메거기’(Megger)라는 절연저항계를 사용합니다.측정 ..

전기실무 2025.04.04

UPS란 무엇인가요?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입니다.우리말로는 무정전 전원장치라고 부르며,정전이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해도전기 공급을 잠깐이라도 유지해주는 장치입니다.서버, NAS, PC 등 민감한 장비를 보호하거나,의료기기, 생산 설비처럼 전력이 끊기면 안 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왜 UPS가 필요할까요?전기는 언제든 끊길 수 있습니다.특히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UPS가 반드시 필요합니다.저장 중인 서버가 정전으로 꺼지면 데이터 손실 발생NAS나 CCTV 등 민감한 장비가 작동 중단실험 장비, 병원 기기처럼 정전이 치명적인 경우공장 설비가 멈추면 생산 중단으로 이어짐UPS는 정전이 발생해도 0.01초 이내 자동으로 전환되며,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해 전기를 공급합니다. UPS는 ..

전기실무 2025.04.04

리졸버(Resolver)의 정의

리졸버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해 회전축의 각도(위치) 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아날로그 장치입니다.리졸버는 엔코더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측정 방식이나 장단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리졸버의 구조와 원리 리졸버는 쉽게 말해, 회전하는 트랜스포머(변압기) 라고 볼 수 있습니다.리졸버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회전자(Rotor)고정자(Stator)회전자에 전압(AC 전압)을 넣으면, 회전자와 고정자 간 전자기장이 만들어집니다.이때, 축이 회전하면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바뀌게 됩니다.이 신호 변화로 정확한 각도와 위치를 계산하는 거죠.🔸 리졸버의 특징과 장점강력한 내구성엔코더보다 열악한 환경(고온, 습기, 진동 등)에 강합니다.높은 신뢰성접촉식이 아닌 전자기 유도 방식..

전기실무 2025.03.26

엔코더(Encoder)와 분해능이란

자동화 장비나 공장 설비에서 빠질 수 없는 부품 중 하나가 바로 '엔코더(Encoder)'입니다. 엔코더는 쉽게 말해 모터의 회전량이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해주는 센서입니다. 회전하는 축의 위치나 각도를 전기 신호로 바꿔줘서, 기계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엔코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증분형 엔코더(Incremental Encoder)축이 회전할 때마다 펄스 형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간단하고 저렴해서 흔히 사용되지만, 전원이 끊겼을 때 현재 위치 정보를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습니다.절대형 엔코더(Absolute Encoder)절대 좌표를 항상 기억하고 있어 전원이 꺼졌다가 켜져도 위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주로 ..

전기실무 2025.03.26

정류기란?

모터 브레이크는 전동기의 회전을 빠르게 멈추거나, 부하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치다. 이때 **정류기(Rectifier)**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여 브레이크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터 브레이크에서 정류기의 원리와 역할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정류기란?정류기(Rectifier)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다.모터 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코일이 직류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류기를 통해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한다.일반적으로 **반파 정류기(Half-wave Rectifier) 또는 전파 정류기(Full-wave Rectifier)**가 사용된다.2. 모터 브레이크에서 정류기의 역할모터..

전기실무 2025.03.20

슬립링(Slip Ring)이란?

회전하는 장비에서 전력이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슬립링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활용 사례까지 정리해 보려고 한다.1. 슬립링이란?슬립링(Slip Ring)은 회전하는 기계에서 전력이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일반적인 전선은 회전하면 꼬이거나 끊어질 위험이 있는데, 슬립링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 없이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2. 슬립링의 구조와 원리슬립링은 고정된 부분과 회전하는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고정자(Stator)회전하지 않는 부분으로, 외부 전원에서 전력을 공급한다.회전자(Rotor)회전하는 부품으로, 기계 내부의 부하(모터, 센서 등)로 전력을 전..

전기실무 2025.03.20

🔌 단상 & 3상 전류(용량) 계산법 & 전선 선정 방법

전기 설비를 다룰 때, 전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모터와 같은 부하의 전류를 구하고, 적절한 전선 규격을 선택하는 것은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과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단상 및 3상 전류 계산 공식과 전선 선정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단상 & 3상 전류 및 전력 계산 공식전력과 전류의 관계는 단상(1Ø)과 3상(3Ø)에서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 공식들을 기준으로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상(1Ø) 전류 계산 공식 ✅ 단상 전력 공식 이 공식을 사용하면 부하의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3상(3Ø) 전류 계산 공식 ✅ 3상 전력 공식 ✅ 3상 전력 공식이를 이용하면 부하의 전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시! 2️⃣ 3상 모터..

전기실무 2025.03.19

리액터 기동(Reactance Starter) 이란?

리액터 기동(Reactance Starter)이란 전동기의 기동 시 기동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리액터(Reactance)를 전원 회로에 삽입하여 점진적으로 전압을 상승시키는 기동 방식입니다.주로 대형 전동기나 부하가 큰 전동기에서 사용되며, 기동 시 과도한 전류를 줄이면서 부드러운 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1. 리액터 기동의 원리✅ 전동기를 직접 기동하면 순간적으로 정격 전압이 인가되어 큰 기동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동 시 리액터(Reactance) 코일을 전원에 직렬로 연결하여 전압을 낮춥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리액터를 바이패스(Bypass)하고, 전동기가 정격 전압으로 운전됩니다.📌 즉, 리액터는 전압 강하를 유도하여 기동 전류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2. 리액터 기동의 ..

전기실무 2025.03.11

포토 센서(Photo Sensor)의 원리와 종류별 활용 사례

포토 센서(Photo Sensor)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산업 자동화, 로봇 기술,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포토 센서는 감지 방식에 따라 **투과형, 반사형(반사경 타입), 확산형(직반사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센서는 특정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합니다.1. 포토 센서의 원리포토 센서는 광원을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IR) 또는 가시광선을 사용하며, 물체의 유무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1) 투과형 포토 센서 (Through-beam Photo Sensor)✅ 원리: 송신기와 수신기를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여, 광선이 차단되면 물체를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특징:감지..

전기실무 2025.03.11

근접 센서(PRX)의 원리와 종류별 활용 사례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PRX)는 물체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이 센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동작하며,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근접 센서는 감지 방식에 따라 유도형, 정전용량형, 광학형 등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센서는 특정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하며, 용도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근접 센서(PRX)의 원리근접 센서는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대표적인 세 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1) 유도형 근접 센서 (Inductive Proximity Sensor)✅ 원리: 센서에서 자기장을 생성하고, 금속 물체가 접근하면 전자기장이 변하면서 전류(와전류,..

전기실무 2025.0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