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부

서브넷 마스크와 DNS란?

전기럭 2025. 3. 11. 14:21
반응형

 

네트워크를 설정하다 보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와 **DNS(Domain Name System)**라는 용어가 꼭 등장합니다.
이 개념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서브넷 마스크란? 🏢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와 장치(호스트) 주소로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 예제로 이해해보세요

예를 들어, 회사에 여러 층이 있는 건물을 생각해보겠습니다.
각 층마다 직원들이 있는데, 같은 층(네트워크)에서는 서로 직접 소통할 수 있고,
다른 층과 소통하려면 중앙 관리실(라우터)을 거쳐야 합니다.

층수 (네트워크)직원 (호스트)

3층 직원1, 직원2, 직원3
2층 직원4, 직원5
1층 직원6, 직원7, 직원8

이 경우, 서브넷 마스크는 "어디까지가 같은 층(네트워크)인지 구분하는 기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실제 네트워크에서의 예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IP 주소: 192.168.1.100
여기에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을 적용하면?

  • 192.168.1 부분은 같은 네트워크(건물 층수)
  • 마지막 100 부분은 개별 장치(직원)

즉, 192.168.1.xxx 범위 안에서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지만,
192.168.2.100과 같은 주소는 다른 네트워크로 인식되어 라우터를 통해야만 연결됩니다.

🛠️ 서브넷 마스크의 역할

같은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 → 같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끼리 원활한 통신 가능
외부 네트워크와 구분 → 다른 네트워크(예: 인터넷)와 연결될 때 구분 역할 수행

📝 대표적인 서브넷 마스크 값

서브넷 마스크한 네트워크 안의 최대 장치 수

255.0.0.0 1,677만 대 (대기업/ISP)
255.255.0.0 6만 5천 대 (대학, 회사)
255.255.255.0 254대 (일반 가정, 소규모 사무실)

2️⃣ DNS란? 🌍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 주소(URL)를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제로 이해해보세요

💻 우리가 구글에 접속할 때 **www.google.com**을 입력하지만,
실제로 컴퓨터는 이런 도메인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컴퓨터는 숫자로 된 IP 주소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ww.google.com**의 실제 IP 주소는 172.217.160.78과 같은 숫자입니다.
이 주소를 직접 외우기는 어렵기 때문에, DNS가 "www.google.com"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DNS의 작동 원리

1️⃣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google.com 입력
2️⃣ DNS 서버가 해당 사이트의 실제 IP 주소(예: 172.217.160.78)를 찾아줌
3️⃣ 컴퓨터가 해당 IP 주소로 접속하여 웹사이트를 보여줌

즉,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

🛠️ DNS를 설정하는 이유

기본적으로 인터넷 공급업체(ISP)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를 자동으로 사용하지만,
이 경우 속도가 느리거나 불안정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공개 DNS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DNS 서버기본 IP 주소대체 IP 주소특징

구글 DNS 8.8.8.8 8.8.4.4 빠르고 신뢰도 높음
클라우드플레어 DNS 1.1.1.1 1.0.0.1 개인정보 보호 강화
OpenDNS 208.67.222.222 208.67.220.220 보안 기능 강화

📝 Windows에서 DNS 설정 방법

Windows에서 변경하는 방법

  1.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어댑터 옵션 변경
  2. 사용 중인 네트워크 우클릭 후 속성 클릭
  3.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선택 후 속성 클릭
  4.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선택 후 원하는 DNS 입력
    • 기본: 8.8.8.8
    • 대체: 1.1.1.1

라우터에서 변경하는 방법

  1.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192.168.1.1 입력)
  2. 네트워크 설정에서 DNS 변경 옵션 찾기
  3. 위에서 소개한 구글 DNS(8.8.8.8) 또는 클라우드플레어 DNS(1.1.1.1) 입력
  4. 설정 저장 후 재부팅

3️⃣ 서브넷 마스크 & DNS 한눈에 정리 🧐

개념역할쉽게 이해하기

서브넷 마스크 같은 네트워크인지 구분 회사 층을 나누는 기준
DNS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전화번호부처럼 주소 찾아줌

📢 이제 서브넷 마스크와 DNS를 알면?

✔ 🏢 네트워크 설정 시 혼동되지 않음!
✔ ⚡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 가능!
✔ 🛠️ 직접 네트워크 설정을 조정할 수 있음!

 

 

 

 

IP 주소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과정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이메일을 보내고,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보내는 기술이

electricalgoose.tistory.com

 

 

네트워크는 어떻게 연결될까? (LAN, WAN, Wi-Fi, 인터넷의 차이점)

네트워크가 무엇인지 기본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는 네트워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볼 차례입니다. 우리는 인터넷, Wi-Fi, 모바일 데이터 등을 이용하지만,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차이점

electricalgoos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