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제어 8

스마트 팩토리란?

디지털 전환의 핵심, 스마트 팩토리의 모든 것최근 산업계의 주요 화두 중 하나는 바로 ‘스마트 팩토리’입니다. 제조업에서 디지털 전환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 공장 운영 방식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미래 제조업의 표준이 되고 있습니다.스마트 팩토리란 무엇인가요?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등 다양한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공정의 자동화는 물론, 공장의 전반적인 생산 활동을 지능화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공장이 사람이 직접 모든 과정을 제어하고 관리해야 했다면, 스마트 팩토리는 설비와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 전압과 전류?

전압(Voltage)과 전류(Current)의 개념을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폭포 모델"**이에요!전기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물의 흐름으로 비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폭포로 보는 전압과 전류의 차이1️⃣ 전압(Voltage) = 폭포의 높이**전압(V)**은 **전기를 밀어주는 힘(전위차)**입니다.폭포에서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가 더 강하게 흐릅니다.높이가 높은 폭포는 물이 빠르게 떨어지고, 낮은 폭포는 천천히 흐르죠!즉,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가 더 많이 흐를 가능성이 큽니다.👉 비유: 높은 폭포 = 높은 전압 / 낮은 폭포 = 낮은 전압   2️⃣ 전류(Current) = 폭포를 흐르는 물의 양**전류(A)**는 흐르는 전자..

???__????? 2025.03.01

🌡️ 써모커플(Thermocouple)과 RTD 차이점 정리

🏭 써모커플(Thermocouple)의 원리써모커플은 서로 다른 두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센서로, Seebeck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작동 원리서로 다른 두 금속(예: 구리-철, 니켈-크로뮴 등)을 접합하면 전압이 발생합니다.이 전압은 온도 차이에 비례하며, 이를 측정하여 온도를 계산합니다.전압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증폭기(Amplifier)와 보정 회로를 사용하여 온도를 정확하게 읽습니다.아래 그림은 써모커플이 온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보여줍니다. [고온 접점 (Hot Junction)] ------------- [저온 접점 (Cold Junction)]      ▲                                                   ▲   서로..

전기실무 2025.02.27

THR(열동계전기)

THR(열동계전기) -THR(열동계전기)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Thermal Overload Relay) ->모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자접촉기(MC)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계전기 -사용법 1)밑 사진에서 전류값 설정은 모터가 과부하걸렸을 때 트립되는 전류치를 설정하는 용도이다. 모터의 정격전류를 확인하여 그값의 1.2배정도 설정하면 됩니다. 2)TEST/RESET 버튼 누를시 b접점 열리고 a접점 닫힙니다. 즉 고의적으로 트립상황을 만들어 계전기가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할수 있습니다. 출처 : LS산전 열동계전기 측면에 보면 결선도와 a접점 b접점 결선 도가 나와있습니다.

전기실무 2023.11.15

MC(전자접촉기)

전자접촉기 MC(magnetic contactor) -AC220[V] 전원에 220[V] 전원이 투입될시 코일에 의해 주접점 및 NO,NC가 개폐되어 동작된다. -보조접점에서 바르게 봤을때 보이는 순서대로 접점을 사용하면된다. ex)왼쪽 기준으로 봤을때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13NO 21NC 22NC 14NO순으로 써져있다 이때 위쪽 아래부분이 13NO 그위가 21NC 아래쪽 위가 22NC 아래쪽이 14NO 순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3.11.15

릴레이(Relay) , 14핀 릴레이.

1. 릴레이의 기본 원리 (NO/NC 개념)릴레이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회로를 ON/OFF 하는 장치입니다. 내부에는 **코일(전압이 걸리는 부분)**과 **접점(회로를 연결/차단하는 부분)**이 있습니다.NO (Normally Open) 접점: 평소에는 열려 있다가, 전압이 가해지면 닫힘 → 전류가 흐르게 됨NC (Normally Closed) 접점: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전압이 가해지면 열림 → 전류가 차단됨

전기실무 2023.11.15

Y-△(와이델타 기동)

Y-Δ(와이델타) 기동이란 전동기 기동 시 Y(와이) 결선으로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흐른 후 Δ(델타) 결선으로 전환하여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삼상 유도 전동기에서 기동 전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1. Y-Δ 기동의 원리Y-Δ 기동 방식은 전동기가 기동할 때 과도한 기동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Y(와이) 결선으로 시작합니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 속도가 안정화되면 델타(Δ) 결선으로 변환하여 정상 운전합니다.✅ Y(와이) 결선 기동 단계:전압이 감소하여 기동 전류가 줄어듦 (정격 전압의 1/√3, 즉 약 58%)전동기의 기동 토크도 함께 감소됨 (정격 토크의 1/3 수준)전동기의 보호와 부하의 영향 최소화✅ Δ(델타) 결선 운전 단계:정격 전압이 가해져 전동기가 정상 출력으로 운전됨토크가 정상..

전기실무 2023.11.15

정역운전 회로

모터 정역운전 회로도입니다. 아래사진 기준으로 PB1 누를시 MC1에 전원공급이되며 정회전 운전을하고 MC1-a 접점이 붙으며 자기유지 됩니다. 정방향기동중 PB2 버튼을 누를시 MC2-b / MC1-b 인터록 접점에 의해 정방향 역방향이 동시에 기동되지 않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둘중 한가지 방식으로만 기동됩니다. PB3-b 버튼으로는 모든 동작을 정지 시킬수 있습니다. 정방향 기동시 RL 점등 역방향 기동시 WL 점등 정지상태시 GL 점등 회로입니다.

전기실무 2023.11.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