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졸버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해 회전축의 각도(위치) 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아날로그 장치입니다.
리졸버는 엔코더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측정 방식이나 장단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 리졸버의 구조와 원리
리졸버는 쉽게 말해, 회전하는 트랜스포머(변압기)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리졸버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회전자(Rotor)
- 고정자(Stator)
회전자에 전압(AC 전압)을 넣으면, 회전자와 고정자 간 전자기장이 만들어집니다.
이때, 축이 회전하면 회전각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바뀌게 됩니다.
이 신호 변화로 정확한 각도와 위치를 계산하는 거죠.
🔸 리졸버의 특징과 장점
- 강력한 내구성
- 엔코더보다 열악한 환경(고온, 습기, 진동 등)에 강합니다.
- 높은 신뢰성
- 접촉식이 아닌 전자기 유도 방식이라 기계적 마모가 없습니다.
- 절대위치 측정 가능
- 전원이 꺼졌다 켜져도 정확한 위치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 엔코더 vs 리졸버 차이점 정리
구분엔코더 (Encoder)리졸버 (Resolver)
출력 방식 | 디지털(펄스 형태) | 아날로그(정현파 신호) |
내구성 | 상대적으로 약함 | 매우 강함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 |
정확도 | 매우 높은 분해능 가능 | 분해능은 엔코더보다 낮으나, 내구성과 신뢰성 우수 |
환경 | 깨끗한 환경에 적합 | 고온, 습기, 진동 등 열악한 환경에 적합 |
🔸 리졸버의 대표적 사용처
- 자동차 산업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 로봇 및 항공우주 산업
- 공작기계 및 군수 장비 등 정밀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반응형
'전기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저항 측정 원리와 기준값 | 전기설비 점검 시 꼭 알아야 할 내용 (0) | 2025.04.04 |
---|---|
UPS란 무엇인가요? (1) | 2025.04.04 |
엔코더(Encoder)와 분해능이란 (0) | 2025.03.26 |
정류기란? (0) | 2025.03.20 |
슬립링(Slip Ring)이란?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