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LC 프로그래밍을 할 때 데이터 타입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데이터 타입을 잘못 설정하면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가 발생하거나,
메모리 사용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PLC 데이터 타입 설명
- 논리형 (BOOL)
- TRUE(1) 또는 FALSE(0) 값을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입니다.
- 주로 스위치 신호, 센서 상태, 인터록(Interlock) 신호 등에 사용됩니다.
- 정수형 (BYTE, WORD, DWORD, LWORD)
- 부호 없는 정수 데이터 타입이며, 비트 수에 따라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가 다릅니다.
- BYTE는 1바이트, WORD는 2바이트, DWORD는 4바이트, LWORD는 8바이트 크기로 설정됩니다.
- 부호 있는 정수형 (SINT, INT, DINT, LINT)
- SINT(8비트), INT(16비트), DINT(32비트), LINT(64비트)로 구성됩니다.
- 부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수(-) 값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DINT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카운터 값, 위치 값, 속도 제어 등에 활용됩니다.
- 실수형 (REAL, LREAL)
-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REAL(32비트)은 소수점이 필요한 경우 사용되며, LREAL(64비트)은 더 높은 정밀도가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 PLC에서 실수형 데이터를 다룰 때는 연산 오류(오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 문자열형 (STRING)
-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됩니다.
- STRING[n] 형태로 사용되며, n은 문자열의 최대 길이를 의미합니다.
- 예: STRING[10] → 최대 10글자까지 저장 가능
- 시간 및 날짜형 (TIME, DATE, TOD, DT)
- TIME: 밀리초(ms) 단위로 시간을 저장합니다. 예) T#5s100ms (5.1초)
- DATE: 날짜를 저장합니다. 예) D#2025-02-27
- TIME_OF_DAY (TOD): 하루의 시간을 저장합니다. 예) TOD#14:30:00 (오후 2시 30분)
- DATE_AND_TIME (DT): 날짜와 시간을 함께 저장합니다. 예) DT#2025-02-27-14:30:00
📌 PLC 데이터 타입 정리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