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설비를 다룰 때, 전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모터와 같은 부하의 전류를 구하고, 적절한 전선 규격을 선택하는 것은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과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상 및 3상 전류 계산 공식과 전선 선정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단상 & 3상 전류 및 전력 계산 공식
전력과 전류의 관계는 단상(1Ø)과 3상(3Ø)에서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 공식들을 기준으로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단상(1Ø) 전류 계산 공식
✅ 단상 전력 공식
이 공식을 사용하면 부하의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3상(3Ø) 전류 계산 공식
✅ 3상 전력 공식
✅ 3상 전력 공식
이를 이용하면 부하의 전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시!
2️⃣ 3상 모터 전류 계산 예제
✅ 10kW 모터(380V, 역률 0.9)일 때 전류 계산
즉, 이 모터는 약 16.9A의 전류를 소모하게 됩니다.
3️⃣ 전류에 따른 전선 굵기 선정 방법
전류를 계산한 후에는 적절한 전선 굵기(단면적)를 선택해야 합니다. 전선이 너무 가늘면 발열이 발생하고, 과부하로 인해 화재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앞서 계산한 10kW 모터(16.9A) 를 기준으로 전선을 선정해 보겠습니다.
- 2.5mm² 전선(허용전류 24A) 사용 가능
전선 단면적 단위, mm²와 스퀘어(sq)의 차이점
전선을 고를 때 **mm²(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라는 단위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 두 단위는 같은 개념을 의미하지만, 표현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
electricalgoose.tistory.com
4️⃣ 전선 선정 시 추가 고려 사항
📌 ✔ 전선 길이 고려
- 전선이 길어질수록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전선 길이가 30m 이상일 경우 한 단계 굵은 전선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 덕트(관로) 내 배선 vs 공기 중 배선
- 덕트 내 배선은 발열이 많아 허용 전류가 낮아지므로, 한 단계 굵은 전선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차단기(보호장치) 선정
- 모터 정격 전류의 1.2~1.5배 용량의 차단기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예를 들어, 10kW 모터(16.9A)라면 20A 차단기 선정
5️⃣ 최종 정리
✅ 단상 & 3상 전류 계산 공식 정리
✅ 전선 선정 기준
- 전류에 맞는 전선 굵기 선택 필수
- 전압 강하 고려 시 한 단계 굵은 전선 선택
- 덕트 내 배선 시 허용전류 감소 고려
✅ 10kW 모터(16.9A)의 전선 선정 예시
- 2.5mm² 전선 가능 (허용전류 24A)
- 전압 강하 고려 시 4mm² 추천 (허용전류 32A)
더 자세한 계산이 필요하다면 전류 계산기와 차단기 용량 계산기도 확인해보세요.
'전기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류기란? (0) | 2025.03.20 |
---|---|
슬립링(Slip Ring)이란? (0) | 2025.03.20 |
리액터 기동(Reactance Starter) 이란? (0) | 2025.03.11 |
포토 센서(Photo Sensor)의 원리와 종류별 활용 사례 (0) | 2025.03.11 |
근접 센서(PRX)의 원리와 종류별 활용 사례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