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코로나 현상(Corona Discharge)

전기럭 2025. 3. 30. 15:01
반응형

전기설비를 다루다 보면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에서 예상치 못한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코로나 현상입니다.

 

 

코로나 현상이란?

코로나 현상은 고전압이 인가된 도체 주변에서 공기의 절연이 국소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 현상을 의미합니다. 주로 송전선이나 개폐기, 변압기 등 고전압 설비 주변에서 나타납니다.

 

왜 발생하는가?

코로나 현상은 도체 주변의 전기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강해졌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도체 표면이 날카롭거나 오염된 경우, 또는 습도와 기압 조건이 특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공기 분자가 이온화되어 방전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분자들이 전하를 띠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방전이 발생합니다.


발생 시 증상

  • 도체 표면에서 **푸르스름한 빛(자외선)**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특히 야간)
  • 윙~ 또는 찌직찌직하는 고주파 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 오존(O₃) 특유의 냄새가 느껴질 수 있으며, 이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 장기간 반복되면 절연 파괴 또는 설비 열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송전 효율 저하, 에너지 손실, 전자파 장애 등의 문제도 유발됩니다.

주로 언제 발생하는가?

  • 고전압이 인가될 때
  • 도체의 표면이 거칠거나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
  •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날씨 조건일 때 더 쉽게 발생합니다.
  • 특히 도체가 뾰족하거나 곡률 반경이 작은 부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코로나 현상 방지 방법

  1. 도체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고,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
  2. 도체의 끝단을 둥글게 설계하여 전기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합니다.
  3. **코로나 링(Corona Ring)**을 설치하여 전기장을 분산시켜줍니다.
  4. 절연거리 확보 및 적정 기상조건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합니다.

 

코로나 현상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전기설비의 수명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과 함께 예방 설계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특히 고전압 설비를 다루는 현장에서는 코로나 현상에 대한 이해와 대응책 마련이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