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

크로스 케이블 vs 다이렉트 케이블 정리

전기럭 2025. 3. 20. 21:14
반응형

📌 1. 개념

  • 크로스 케이블 (Cross Cable)
    • 동일한 장치끼리 연결할 때 사용 (PC ↔ PC, 스위치 ↔ 스위치 등)
    • 송신(TX)과 수신(RX) 신호선을 교차(크로스)해서 연결
    • 현재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가 Auto MDI-X 기능을 지원해 크로스 케이블 필요성이 줄어듦
  • 다이렉트 케이블 (Straight-through Cable)
    • 서로 다른 장치끼리 연결할 때 사용 (PC ↔ 스위치, PC ↔ 공유기 등)
    • 송신(TX)과 수신(RX) 신호선이 그대로 유지됨 (교차 없음)

 

 

🔹 T568A 배선 순서

  1. 흰초록
  2. 초록
  3. 흰주황
  4. 파랑
  5. 흰파랑
  6. 주황
  7. 흰갈색
  8. 갈색

🔹 T568B 배선 순서

  1. 흰주황
  2. 주황
  3. 흰초록
  4. 파랑
  5. 흰파랑
  6. 초록
  7. 흰갈색
  8. 갈색

➡ 크로스 케이블: 한쪽은 T568A, 다른 쪽은 T568B
➡ 다이렉트 케이블: 양쪽 모두 T568A 또는 T568B

 

Auto MDI-X 지원 여부 확인: 최근 스위치, 공유기, 랜카드는 자동으로 크로스/다이렉트 감지 가능함.

크로스 케이블 필요 줄어듦: 요즘 네트워크 장비는 대부분 다이렉트 케이블만 사용해도 자동 감지하여 통신 가능.

 

💡 정리

  • 요즘은 다이렉트 케이블만 사용해도 대부분 문제 없음
  • 구형 장비에서는 크로스 케이블이 필요할 수 있음
  • 배선 작업 시 표준(T568A/B) 확인 필수
반응형